성보문화재의 이해

불상

불상

부처님을 상(象)으로 만들어 모시는 일은 처음에는 금지된 일이었다.

부처님이 돌아가시고 난 후 거의 5-600년 동안은 부처님을 상으로 만들어 모시지 않았다.

이 기간에 부처님이 바퀴, 의자, 족적, 수건 등으로 표현된 이유가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 기인하며, 이러한 시대를 인도의 무불상시대(無佛像時代)라고 한다. 불상제작의 최초기록은 우전왕에 의해서 만들어졌다고는 하지만, 기록으로만 존재할 뿐 실제로는 남아있지 않다.

처음에는 불상을 만드는 일보다는 부처의 사리를 나누어 탑을 세우는 사리신앙이 세해 인도의 아쇼카왕 시대에는 부처의 성적지에 기념주를 세우는 일이 유행하다가 실제로 상을 만드는 일은 인도의 슝가시대에서부터 시작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게 바로 1세기 무렵의 일이다. 이러한 불상의 발생지는 바로 서북 인도의 간다라와 중인도의 마투라 지역이다. 이곳에서 불상이 만들어지면서 중국으로 전파되고 바로 우리나라에 전파되어, 한국의 불상이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불상을 만드는 일은 무형의 존재를 유형으로 만드는 과정이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에는 일련의 법칙과 규칙이 존재하였다. 그것이 바로 32상80종호이다. 인도에서는 전통적으로 대각자인 부처님이나 전륜성왕(轉輪聖王)이 될 사람은 서른 두 가지의 신체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32상이라는 특출한 대인상을 타고 태어난다는 내용이 브라만교의 베다성전에 기록되어 있어서 이것이 불교의 초기경전으로 옮겨지면서 80종호가 더 추가된 것이다. 사실상 32상80종호의 내용들에 의해 상을 만들어야 되기보다는 그만큼 신격화된 존재로서의 차별성을 강조하고 부각시키기 위함인 것이다. 더욱이 32상80종호의 세세한 내용들에 의거해서 불상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 사실상 조형적 으로 불가능하다.

불상을 만드는 일은 무형의 존재를 유형으로 만드는 과정이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에는 일련의 법칙과 규칙이 존재하였다. 그것이 바로 32상80종호이다. 인도에서는 전통적으로 대각자인 부처님이나 전륜성왕(轉輪聖王)이 될 사람은 서른 두 가지의 신체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32상이라는 특출한 대인상을 타고 태어난다는 내용이 브라만교의 베다성전에 기록되어 있어서 이것이 불교의 초기경전으로 옮겨지면서 80종호가 더 추가된 것이다. 사실상 32상80종호의 내용들에 의해 상을 만들어야 되기보다는 그만큼 신격화된 존재로서의 차별성을 강조하고 부각시키기 위함인 것이다. 더욱이 32상80종호의 세세한 내용들에 의거해서 불상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 사실상 조형적으로 불가능하다.

불상을 대부분 금(金)으로 표현하는 이유는 32상80종호에 부처의 피부를 부드럽고 곱고 매끄러워 자금색이라 한데서 연유한다. 그래서 금동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이외에도 상황에 맞게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흙으로 제작한 소조불, 건칠불, 철로 제작한 철불, 목조불상, 석불상 등의 다양한 재료로 만든 불상이 제작되었다.

현존하는 한국 최고(最古)의 불상은 뚝섬출토금동불상이다. 중국에서 전래되었을 것이라는 설도 있지만, 일단은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불상으로 금동으로 제작된 소형의 불상이다. 금동불은 소형에서부터 대형에 이르기까지 아직도 제작된다. 시기가 올라가는 불상의 경우는 휴대가 용이하게 소형으로 제작된 금동의 불상이 많으며, 더불어 석조로 제작된 경우도 많이 전해진다. 소조불은 흙으로 빚어 자연적으로 건조시키는 방법과 굽는 방법이 있다. 우리나라의 삼국시대 소조불로는 원오리사지에서 출토된 것이 대표적인 예로서 구운 경우에 해당된다. 향나무, 은행나무, 육송, 적송 등의 목재로 제작되어지는 목조불상은 화재에 약하다는 단점 때문에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목조불상은 1274년의 하한선을 가지고 있는 개운사(開運寺) 아미타목조불상이다. 건칠불(乾漆佛)은 흙으로 기본 틀을 만들고 그 위에 옻칠한 종이로 형태를 감싸면서 만든 후에 처음의 소조상을 제거하면 남은 종이 형태가 불상이 되는 제작방법을 말한다. 고려말에서 조선초에 걸쳐 많이 제작된 방법으로,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건칠불좌상은 보물1544호로 지정된 고려후기에 제작된 나주 심향사 건칠불좌상이다.

석불은 아마도 제작 조건과 내구성이 강했던 이유로 제작되었을 것으로 여겨지는데, 특히 한국에는 전국에 걸쳐 순백 양질의 화강석이 대량으로 분포되어있는 자연조건의 혜택을 입어 일찍 석조기술이 발달한데 있다. 이것은 마애불, 즉 바위에 저부조나 고부조, 혹은 선각으로 새겨진 마애불이 산천에 있는 것과도 같은 맥락이다. 시기가 앞선 석불로는 부여 시내 군수리 탑의 심초석(礎石石)에 발견된 석불좌상이다. 부여에 이어 삼국시대의 수많은 석불들과 석굴사원의 개착에 이어 통일신라, 고려, 조선까지 사실상 한국의 석불조각은 성황을 이루고 있어 현재까지도 남아있는 석조불상이 많은 편이다.

철불(鐵佛)은 시대성과 지역성을 수반하여 제작된 종류이다. 특히 통일신라 말부터 고려초 지방의 호족들을 배경으로 하고 중앙보다는 강원도와 같은 지방을 중심으로 한 같은 양식과 계보를 갖는 철불이 많이 제작되었다. 밀랍주조법으로 제작되어지는 금동불과는 달리 철불은 분할주조법으로 제작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위와 같이 다양한 재료에 의해 제작되는 불상을 구분하는 방법은 손의 표현, 즉 수인을 기준으로 구분된다. 석가모니부처님은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이라 하여, 한 손은 바닥을 내어 무릎위에 올려놓고 다른 한 손은 땅을 가리키는 수인이다. 아미타여래의 수인은 흔히 구품인(九品印)이라고 하는데, 각 손의 엄지와 나머지 네 개의 손가락 중 어느 손가락을 잇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9개의 구분된 손갖춤을 말한다. 이는 중생을 구제할 때 그 중생의 근기에 따라 9가지로 나누어 구제할 수 있다는 데서 연유한 것이다. 비로자나 부처님은 한손의 엄지를 다른 손이 감싸안는 지권인(智拳印)으로서 구분한다. 이러한 수인 말고 손에 들고 있는 지물로 부처님을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흔히 약사여래는 약합을 들고 있으며, 보살상의 경우 관음보살은 정병(靜甁)을 들고 있거나 머리의 보관에 화불(化佛)이 표현된 경우가 그 예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