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정예하

행장

대한불교조계종 제15대 종정 중봉 성파 대종사
진제법원대종사행장
수행이력

1960년 10월 15일

통도사에서 월하 화상으로부터 사미계 수지

1970년 4월 7일

통도사에서 월하 화상으로부터 비구계 수지

1971년 1월 15일

통도사 승가대학 졸업

1971년 1월 15일

통도사 홍법스님으로부터 전강

1998년

봉암사 태고선원 수선안거 이래 27안거 성만

2002년 2월

월하 화상으로부터 환성지안 문하 13세손 인가
전법게 및 법호 ‘중봉中峰’ 수지
*전법게 : 人人各持自燈火 豈待日月尋前路
주요경력

1978년 9월

대한불교조계종 제5대, 8대, 9대 중앙종회의원

1980년 2월

학교법인 원효학원 해동 중·고등학교 이사장

1980년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부장, 교무부장, 규정부장

1981년 3월

통도사 주지

1985년 1월

통도사 서운암 감원

1988년 5월

학교법인 영축학원(해동고등학교) 이사장

2000년 4월

서운암 무위선원 개원

2013년 4월

대한불교조계종 원로위원

2014년 1월

대한불교조계종 대종사 법계 품수

2018년 3월

영축총림 통도사 방장 (現)

2021년 12월 13일

대한불교조계종 종정 추대
문화예술

1984년 ~ 1895년

통도사 서운암에 우리나라 최초 도자삼천불상 봉안, 성파 시조문학상 제정 및 전국 시조백일장 제정

1989년

영축문화원 개원, 한국불교 독립운동사 재정립 연구를 위한 한국불교 항일운동 업적 자료 발굴 사업 추진

2000년 4월

서운암 무위선원 개원 이후 선농일치禪農一致 정신 선양 및 통도사 차밭 재건 사찰이 지닌 고유한 문화와 예술을 발굴하여 선의 정신과 접목한 선예일치禪藝一致추구하시며 다양한 활동을 겸전兼全

1991년 ~ 2012년 4월

16만 도자대장경 조성 및 장경각 건립 회향

1983년 ~ 현재

천연염색 및 새로운 옻칠 기법을 개발하여 사찰 단청과 건축, 도자기 및 그림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영역에 적용한 작품 활동. 불화 경전 등 사찰 불사의 바탕이 되는 우리 한지韓紙 개발에 진력
수상

∙ 2014. 12. 27. 제2회 조자용문화상 특별상 수상 - 조자용기념사업회
∙ 2017. 11. 21. 옥관 문화훈장 – 문화체육관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