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공지사항

승가교육 새소식 제 3호
2012-07-25 조회 3,633
 

자비를 구현하고 사회와 역사에 부응하는 승가교육
불기2556(2012)년 3월 12일(월)   제3호
교육원은 지난 3월 1일 청암사승가대학을 시작으로 개편교과를 시행하는 승가대학에서 필수교과목 6개 강좌에 대한 이러닝(e-learning) 동영상 강의를 시작하였습니다.
사이버 동영상 강의는 승가대학 상주 교육교역자가 다양해진 교과과정을 모두 강의하기 어려워짐에 따라, 이를 보완하고자 전문가가 부족하거나 강사로 대체하기 어려운 6개 과목 중 1학기 필수교과목 <불교문화유산의 이해>, <포교방법론>, <불교와 사회> 3과목에 대해 진행합니다.
강의 진행 방식은 각 지방승가대학에서 지도교수스님의 지도하에 대한불교조계종 디지털대학 홈페이지(http://www.edubuddha.net/)로 접속하고 빔프로젝트를 활용하여 강의를 듣게 됩니다.
수강이후 질의는 ‘질의ㆍ응답’란에 올리면 강사가 답을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개별적으로 추가 수강은 언제든지 가능합니다.
2학기 과목 중 <세계종교의 이해>, <중관사상>, <불교와 동서철학> 등 3과목에 대한 동영상 강좌도 7월까지 준비되어 제공될 예정입니다.
                               >>>>> 관련기사 더보기
교육원 불학연구소에서는 2012년 개편된 승가대학 표준교과과정의
2학년 1학기 필수교과목 <불교영어>의 교재로《불교영어 초급Ⅰ》을 발간하였습니다.
불학연구소에서 기획편찬한 이 책은 불교로 배우는 영어 첫걸음 단계로,
사찰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주제와 내용으로 구성되어 일상의 대화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의 전체적인 구성은
1부 영어회화, 2부 불교 교리, 3부 한국불교 역사와 문화의 세 부분으로 나뉘어 있으며,
각 단원과 단원 사이의 ‘쉬어가는 코너’에는
선시 또는 경구를 실어 영어 독서의 재미도 느낄 수 있게 하였습니다.
이 책은 개편된 승가대학 교과에 의거하여 편찬된 교과목이지만,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찰에서 외국인과 직접 만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실생활에서의 필요한 이른바 실용 교과서이기도 합니다.
여기에서는 실제 생활에 쓰이는 영어표현들을 정리하여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불학연구소에서는 앞으로도 《불교영어 초급Ⅱ》, 《불교영어 중급Ⅰ》, 《불교영어 중급Ⅱ》
《불교영어 고급Ⅰ》, 《불교영어 고급Ⅱ》도 발간할 예정입니다.
                                                                                       >>>>> 관련기사 더보기
국제불교학교 신입생 9명 입학식
조계종에서 영어전문인력 양성을 위하여 직접 설립ㆍ운영하는 2년제 10학기 특수교육기관인
‘조계종 국제불교학교’의 입학식이 3월 5일(월) 오후 2시에
신입생 9명 등 40여명의 사부대중이 참석한 가운데 국제불교학교에서 봉행되었습니다.
입학식에는 교육원장 현응스님을 비롯하여 교육부장 법인스님, 화운사 주지 도현스님,
총무원 사회국장 묘장스님 등이 참석하였습니다.
또한 새로 임용된 불교학 강사인 미국 국적의 John Beaudry와
원어민 강사인 미국 국적의 Landolll Terrence Patrick,
캐나다 국적의 Mary Elizabeth Moore도 함께 하였습니다.
세계화 시대를 맞아 국제포교, 외국인 템플스테이 지도,
국제회의 및 국제행사시에 진행 등을 담당할 전문가 양성을 위한
비구니 영어전문교육기관인 ‘조계종 국제불교학교’는
2011년 3월 입학생이 선발되어 현재 9인의 학인스님이 학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2011년 하반기 학인 9명을 선발하여 이번 입학식을 봉행하였습니다.
조계종국제불교학교는
비구니 스님들이 사찰에 상주하면서 전임교수와 원어민 강사의 지도하에
모든 생활과 수업을 영어로 진행하며,
가을학기에는 외국인들과의 직접 교류 및 현지문화체험을 위해
40여일 간의 해외연수도 실시하고 있습니다.
- 디지털 기술의 교육 접목은 단순히 시대적 대세로서의 명분이 아닌
 교육적 효과 검층을 기반으로 추진되어야 함
- 전통적인 교육관의 혁신이 필요한 시점
 : 수단(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 발전이 목적(교육목적 및 내용)의 변화도 유도할 수 있다는
    새로운 시각 필요 - 단순히 디지털 시대를 준비하기 위한 인재 육성을 넘어
- 디지털로 인한 교육 자체의 본질적 변화가 진행 중
 =>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점차 가시화

* 이 내용은
 삼성경제연구소에서 2005 디지털2 컨퍼런스 [대한민국이 열어가는 디지털 르네상스] 중
 김형주(한국교육학술정보원) 박사가 발제한
 "미래 교육의 준비, ICT에서 U-learning으로"의 자료입니다.
                                                                                >>>>> 관련 자료 더보기
"승가교육새소식"은 열린 space공간...
"승가교육새소식"은 쌍방향을 지향합니다.
승가교육과 관련한 소식을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나오는 추천 도서나 논문, 좋은 글을
'시선너머'로 추천해 주시면 함께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승가교육과 관련된 제언이나
본 "승가교육새소식"에 실어 공유할 의견이 있으시면
아래의 메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