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시대 불교 정책과 현황} 발간
부제 : 조선총독부관보 불교관련 자료집발행 :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편찬 :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총무부출판 : 선우도량 출판부규격 : 4×6배판(상권 992면, 하권 1032면) 가격 : 120,000원(전2권)발행일 : 2001년 7월 20일 {일제시대 불교 정책과 현황}은 일제시대 조선총독부관보(朝鮮總督府官報)에 실린 불교 관계 기록을 발췌하여 편집한 자료집이다. 조선총독부관보는 일제 식민 통치의 전과정이 담긴 공식 문서라고 할 수 있다. 그 자료 분량도 방대하지만 거기서 발췌한 불교 관계 자료 역시 막대한 분량을 차지한다. 그 동안 불교근현대사 연구에 있어서 관보 자료 활용은 극히 미미했다고 할 수 있다. 이 조선총독부관보 자료집 편찬의 필요성은 일찍부터 제기되었지만, 자료의 분량과 편찬 과정의 수고로움을 생각했을 때 그리 쉽게 엄두를 내지 못할 일이었다. 이 자료집은 대한불교조계종총무원 총무부에서 원력을 세우고 한국불교 근현대사에 관한 많은 성과를 내고 있는 선우도량 한국불교근현대사연구회가 자료의 정리 실무를 맡아 발간되기에 이르렀다. 1. 자료집 발간의 동기 거시적인 안목에서 식민지시대의 한국불교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문제는 보는 이의 시각에 따라 다양하다. 혹자는 제국주의자들과 함께 한국에 들어온 일본 불교와의 차별성을 강조하여 민족불교라 하기도 하고, 한국사의 보편적인 시대구분에 맞추어 편의상 근대불교라고도 한다. 그리고 한국불교 전통이 얼마나 충실하게 유지·발전되었는가라는 관점에선 혹자는 한국불교 정체성의 혼란기라고 한다. 이렇듯 식민지 시대의 불교에 대해서는 그것을 이해하는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는 실정이다. 식민지시대의 한국 불교를 연구하는 입장에서는 어떤 자료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것일까. 이 시기의 자료는 바닷가에 흩어져 있는 많은 조약돌 마냥 산재해 있다. 신문·잡지·서간문 등 어느 것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다. 그러나 이러한 자료를 정말 바닷가 조약돌 고르는 식의 길고 지루한 작업을 통하여 하나씩 얻어야만 하는가. 총독부의 면밀한 불교 통제와 관리에 대해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길은 어떤 것일까. 이러한 인식 속에서 우리는 이번 자료집을 기획하게 된 것이다.2. 조선총독부관보의 내용 {조선총독부관보}는 영인본 142권에 달하는 방대한 양으로, 일제 식민 통치의 기본 방향과 그 구체적 실행을 알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자료를 담고 있다. 예컨대, 일제가 반포한 법령, 총독부의 시정 방침, 총독부 관리의 인사 이동, 각종 조사 통계, 보고 사항 등이 매우 상세히 실려 있다. 그 가운데 불교와 관련된 기록들도 적지 않다. 단위 사찰의 주지 임명, 지금 확인할 수도 없는 산골 조그마한 암자의 건립과 폐지, 지방 포교소의 포교사 교체 문제, 사찰림의 벌목 신청 등까지 상세하게 실려 있다. 그것을 살펴보는 것만으로도 일제의 불교에 대한 관리와 통제가 얼마나 집요하고 철저하게 이루어졌는지 짐작할 수 있고, 당시 불교계의 상황을 손에 잡힐 듯이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조선총독부관보}는 조선총독부의 공식 기관지로서 일제시대를 대표하는 관변 자료이다. 1910년 8월 29일부터 1945년 8월 30일까지 35년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발간되었다. 이 기간 동안에 {조선총독부관보}는 연평균 298.5회, 공휴일을 제외하고 호외를 포함한다면 거의 매일 발행된 셈이다. 이렇게 35년간 발행된 {조선총독부관보}는 총 1만4백50호, 면수로는 14만5백15면에 달하는 방대한 양이다. 이것이 담고 있는 내용은 일제의 식민통치의 개요와 정책의 구체적 실행, 식민지 관리 상황 등 총독부의 공식적인 행정 일체를 망라하고 있다. 이 가운데 불교와 관련된 내용은 각종 법령·고시(告示)·통첩, 그리고 휘보(彙報) 중 관청사항(官廳事項)·조사 및 보고(調査及報告)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을 검토함으로써 총독부의 불교 정책 전모와 당시 불교계가 인가를 요청한 주지 이동, 사찰 재산의 변동, 그리고 그에 대한 총독부의 인가 사항 등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다.